지난해 9월 완공된 ‘진주-사천 광역 자전거도로 개설공사’가 잦은 설계변경으로 공사비가 증가하고 관련 공사 수의계약은 특정업체에 편중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.
진주시의회 도시환경위원회 박종규 의원은 11일 열린 환경관리과 행정사무감사에서 이같이 지적했다.
박 의원은 “진주-사천 광역 자전거도로 공사의 설계변경이 총 13번이나 있었는데 도로 변경이 대부분”이라며 “잦은 설계변경은 공사비 증가로 연결된다. 처음에 설계할 때 잘해야 한다. 자전거도로의 경우 거리 등이 정확히 나온다”고 주장했다.
이어 “물론 공사 도중 예상치 못한 암반이 나오면 설계변경을 통해 우회할 수 있다. 하지만 이번 공사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현장”이며 “앞으로 이런 부분은 지양돼야 한다”고 덧붙였다.
박 의원은 또한 13번의 설계변경 공사 가운데 11건을 업체 2곳이 수주했다고 지적하며 “바람직하지 않다”고 주장했다. 그는 “13건 가운데 1곳이 8건을 했고 또 다른 1곳이 3건을 했다. 2곳에 85%가 집중됐다”며 이유를 물었다.
이에 대해 회계과 관계자는 “회계과에서 운영하는 업체가 총 4곳으로 돌아가면서 수의계약을 한다”고 답했다. 박종규 의원은 “긴급을 요하거나 특허 등의 기술 차이가 없는 경우 수의계약은 지역업체에 골고루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”고 덧붙였다.
경제복지위원회 최민국 의원은 ‘진주-사천 통합 주장’에 대해 통합에 앞서 경제교류가 우선이라는 주장을 펼쳤다.
최민국 의원은 같은 날 열린 우주항공사업단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“양 지자체간 통합이 논의되려면 경제, 문화, 의료, 교육 등 민간 차원의 교류가 우선돼야 한다”며 “각 부서 간 협력을 할 수 있는 참신한 사업들을 발굴하고 실행에 노력을 기울였을 때 통합이라는 큰 의제에 대한 근거가 뒷받침될 수 있다”고 말했다.
최 의원은 전날에도 일자리경제과와 기업통상과 행정사무감사에서 민간 차원의 경제교류 중요성을 제안하며 통합보다 연대·연합의 자세로 사천시와 협력할 것을 당부했다.
최 의원은 “‘진주·산청 상생 상품권’ 발행처럼 사천시와도 경제교류를 위해 상생 상품권 발행을 추진해야 한다”며 “진주상공회의소와 사천상공회의소가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기업들이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도 해야 한다”고 당부했다.